게임아트 전공 교육체계

게임디자인 원리를 이해하며, 게임아트(게임 그래픽, 게임 애니메이션 등) 능력을 집중 향상시켜 현장 투입이 가능한 게임 그래픽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1학년 1학기

게임학개론

게임에 대한 기본 지식을 학습하고, 게임 관련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학문 분야들이 융합한 다학제적 접근을 기반으로 게임의 개념과 역사, 게임 시장의 변천 과정, 기초 게임 이론 소개 및 다양한 이론적 관점들을 이해한다.

(Introduction to o Game Studies)

게임테크 기초 I

창의적 게임 개발자가 되기 위한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게임 전공자가 게임 제작에 필요한 능력을 키우기 위한 프로그래밍의 기초문법과 응용방법을 학습한다.

(Basis of Game Technology-I)

게임아트 기초 I

창의적 게임 개발자가 되기 위한 기본적인 게임아트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게임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방법과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

(Basis of Game Art-I)

1학년 2학기

게임디자인 기초

게임 창작에 기초적인 게임기획 방법론은 학습한다. ‘게임디자인’이라는 용어는 게임산업계에서 통용되는 ‘게임기획’을 뜻하며, 게임연출, 게임프로젝트 매니징 등을 포괄한다. 게임디자인에 대한 기초적인 게임요소와 게임디자인에 필수적인 기초 개념을 학습한다.

(Basis of Game Design)

게임테크 기초 II

융합 게임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게임 프로그래밍 기술을 습득한다. 게임전공자가 개발과제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응용과정의 프로그래밍의 문법과 알고리즘 개발 방법을 학습한다.

(Basis of Game Technology-II)

게임아트 기초 II

융합 게임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게임 아트 기술을 습득한다. 게임전공자가 개발과제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응용과정의 아트제작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Basis of Game Art-II)

2학년 1학기

게임 디자인

창의적 발상이나 아이디어를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디자인 이론과 실습을 통한 창의적 디자인 연구를 목표로 한다. 또한 게임 스토리텔링의 표현과 응용 방법, 게임 시나리오, 게임 레벨 디자인, 게임 테스트 등에 대해 학습한다.

(Game Design)

드로잉과 컨셉 디자인

드로잉, 페인팅 SW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게임제작에 필요한 기초 드로잉 연습과 게임 컨셉 디자인을 위한 모든 것을 다룬다. 게임 컨셉의 도출 과정과 방법을 예제를 통해 배우고, 드로잉 제작 방식과 효율적인 이미지 구현, 입체적인 컨셉 표현 방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Drawing and Concept Design)

2D 게임 애니메이션

2D 게임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기본 기술을 습득하고, 실전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캐릭터의 특징별, 상황별 동작 표현을 질적으로 향상하고 게임 플레이를 최적화하기 위한 고급기술을 습득한다.

(2D Game Animation)

3D 게임그래픽 I

3D그래픽 저작 도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하기 위한 과정이다. 모델링, 맵핑, 애니메이션 등의 영역에서 기초적인 부분을 학습하여, 3D그래픽 저작 도구의 기초 활용능력을 함양하고, 3D그래픽에 대한 흥미를 갖는 것에 주 목표를 둔다.

(3D Game Graphic – I )

2학년 2학기

레벨디자인 개요

게임월드를 창조하는 레벨디자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학습하며, 암시를 통해 스토리를 전달하고 게임플레이를 반영한 흥미로운 레벨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Introduction to Level Design)

게임캐릭터 디자인

게임아트 제작의 중심인 캐릭터 디자인 창작을 목표로 한다. 캐릭터 디자인의 목적을 이해하고, 창의적 캐릭터 디자인에 필요한 드로잉 능력의 향상과 작업 결과물을 제작, 발표한다. 이를 위해 인체 해부학의 기초와 인체 드로잉 및 활용방법에 대해 학습하고 다양한 캐릭터의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Game Character Design)

게임 색채론

게임 디자인의 기본적 색채의 구성요소와 원리를 바탕으로, 다양한 색의 조화와 조율을 통한 창조적인 표현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목표이다. 게임을 이루는 여러 조형요소와 함께 게임 스토리텔링을 이루는 상황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매체로서의 색채, 질감, 형태 등의 조형 요소에 대해 연구한다.

(Color Theory)

3D 게임그래픽 II

3D게임에서의 사실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물체의 질감, 빛에 대한 반응, 그림자, 빛의 색감 등을 창의적이면서 사실적인 느낌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연구한다.

(3D Game Graphic -II)

3학년 1학기

게임 경험 디자인

인터페이스의 스타일과 효과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바탕으로 미디어 디바이스를 위한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연구한다. 또한 다양한 게임의 플랫폼에 맞는 게임 경험 디자인의 개념과 프로세스를 학습한다.

(Game UI/UX Design)

게임 배경 디자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배경 그래픽을 위한 건축물과 환경 디자인 등의 다양한 제작기술을 연마하고 프로젝트에 응용한다.

(Game Background Design)

게임 시네마

게임 인트로 애니메이션 제작 및 컷신 등의 게임시네마 연출 및 창작을 목표로 한다. 시놉시스, 스토리보드 실습과 다양한 시네마툴들의 활용법을 습득한다.

(Game Cinema)

게임 엔진 응용

다양한 게임 엔진들에 대한 분석과 함께 특정 엔진에 대한 자세한 응용방법을 통해서 모바일 환경이나 PC환경에서 동작하는 게임을 창작을 위한 최신 게임 엔진들의 활용법을 습득하며 게임이외의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제작방법을 학습한다.

(Game Engine Research)

3학년 2학기

3D 게임 애니메이션

3D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이론과 저작도구의 기능을 습득하고, 실습을 통하여 3D 모델링, 텍스처 맵핑, 랜더링, 광원 효과, 카메라 설정 등의 3D 게임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을 익혀 게임 아트 분야에 있어서의 활용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3D Game Animation)

게임그래픽 스튜디오

다양한 전공수업 중에서 가장 자신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실습과제물이나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완성도 높은 작품의 수행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Game Graphic Studio)

게임 공간 디자인

공간 디자인의 기본 원리와 다양한 기법에 대해 학습하고, 게임 공간을 기능적, 심미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게임 공간 기획에서부터 최종 결과물을 완성해가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을 습득한다.

(Game Space Design)

게임 사운드

사운드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디자인하고 편집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사운드 편집을 위한 툴을 사용하는 사운드의 다양한 편집 방법을 학습하여 게임 영상에 적합한 사운드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실전 감각을 익힌다. 사운드의 음원을 창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기 위해 DAW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게임음악을 제작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Game Sound)

4학년 1학기

게이미피케이션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기초개념 및 다양한 사례를 통해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이해 및 발전방향에 대해 학습한다. 게이미피케이션의 학습을 통해서 게임의 기획, 제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Gamification)

캡스톤디자인
(졸업작품설계)

게임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게임 기획, 게임 아트, 게임 프로그래밍 기술을 실전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점검하는 기술과 문서화하는 능력을 습득한다.

(Capstone Design)

4학년 2학기

게임그래픽 프로젝트

학생 개개인의 성향을 파악하고 작품을 진행한다. 게임 업계 구인 구직의 흐름을 반영하여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현 시대에 걸맞은 사회생활과 연계하여 학습한다. 관심 직무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탐색하고, 직무 관련 환경의 기회와 장애 요인을 이해하며, 목표를 수립한다.

(Game Graphic Project)

게임벤처 IoT 스타트업

게임산업계의 최신 트렌드 기술(IoT. 가상현실 등)에 대한 이론의 기본적인 개념과 다양한 응용 분야 및 이를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최신 신기술을 활용한 게임산업계 현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실제 게임벤처 설립관련 기초 실무를 다진다.

(GameVenture Startup)